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ap
- set
- 아두이노 컴파일러
- list
- 자료구조
- arduino compiler
- 통계학
- Deque
- Stack
- stl
- 라인트레이서
- html
- LineTracer
- c++
- 아두이노
- Algorithm
- Visual Micro
- 컴퓨터 그래픽스
- 수광 소자
- vector
- WinAPI
- Arduino
- queue
- Array
- 시스템프로그래밍
- directx
- priority_queue
- 아두이노 소스
- 운영체제
- C언어
- Today
- Total
목록전체 (545)
Kim's Programming
라인트레이서는 적외선 발광부에서 빛을 쏘아 선에 반사된 빛을 수광소자가 받는 원리를 이용하여 선을 감지합니다. 이런 원리를 할 수 있는 회로도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라인트레이서 발광 및 수광부입니다. 발광소자는 항상 전원이 입력되어 항시 켜져 있습니다. 발광부는 하부의 선에 반사된 빛을 받아드린 후 그에 알맞은 값을 HIGH 또는 LOW로 출력하지만 제가 제작하는 라인트레이서는 ADC값을 이용하여 선을 감지하게 만들 것 입니다. 또한 위 회로도에 나와있는 A0, A1, A2, A3은 수광부의 신호를 감지하는 선이며 각 신호선들이 할당된 포트를 나타냅니다. 이에 해당하는 소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라인트레이서에는 어떤 부품들이 들어갈까요? 1.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라인트레이서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나가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선을 감지합니다. 검은색에 가까울수록 빛을 흡수하고 흰색에 가까울수록 빛을 반사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2. 수광소자 수광 소자입니다. 빛을 받아들여서 전기적 신호를 표출하는 다이오드 입니다. 빛을 받았을떄 디지털로 LOW를 빛이 없을떄 HIGH 값을 출력합니다. 하지만 이번 라인트레이서를 만들때는 HIGH와 LOW만이 아닌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ADC 값인 아날로그로 받아 제작에 이용할 것입니다. 자세한것은 따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3. DC모터 말그대로 직류전원을 이용하는 모터입니다. 라인트레이서도 움직이는 로봇인 만큼 모터를 이용하여 움직이게 ..
오늘은 Token-Ring 방식의 네트워크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Token-Ring 이라는 말 뜻 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Token 과 Ring 을 나누면 Token : 화폐 대용으로 쓰는 토큰, 상품권 Ring : 고리 고리와 거래 뭐 이런 조합이 됩니다. 그러다면 그림으로 볼까요? ▲(그림 1,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D%86%A0%ED%81%B0%EB%A7%81) 그림 1을 보시면 Token-Ring 방식의 네트워크가 구성이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와 b)의 공통점을 볼까요? 붉은색 선을 보면 고리 형태 즉 Ring 의 형태로 연결이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Token은 어디에서 존재 할까요? ▲(그림 2, 출처 : ht..
Ethernet 방식은 네트워크 방식중에 하나입니다. 이 이더넷이라는 것은 CSMA/CD 프로토콜을 이용하는데 이 프로토콜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CSMA/CD라는 용어부터 보겠습니다. 이를 풀어쓰면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ion 의 의미, 작동은 어떻게 될까요? 2어절씩 끊어서 보시면 됩니다. * Carrier Sense 와 Multiple Access 그림 1과 같이 한 네트워크에 컴퓨터 4대가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그림 1, 출처 : http://www.svetsiti.cz/clanek.asp?cid=10GE..
흔히 간단한 공유기 같은 네트워크 장비를 만나면 LAN과 WAN이라는 용어가 눈에 뜁니다 이 용어들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각 용어들을 풀어 쓰면 이렇게 됩니다. LAN : Local Area Network WAN : Wide Area Network 그렇다면 차이는 어떻게 될까요? 간단히 말해 LAN은 한정된 네트워크(공간)안에서 네트워크를 구성 한다는 것입니다. WAN은 멀리 떨어진 지역과 연결 하는 것을 WAN이라고 봅니다.
▲라우터에 연결된 인터넷을 시각화 한 그림(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Internet) * InerNet Internet의 등장은 1969년 시작된 미국 국방부의 고등 연구 계획국(APRA)의 주도하에 만들어진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인 아파넷(ARPANET)의 등장이 모태였습니다. 당시엔 회로 스위칭이 많이 쓰였으나 아파넷의 등장이후 패킷 스위칭이 데이터와 음성을 주고 받는데 널리 쓰였습니다. 아파넷은 NCP 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1983년 TCP/IP(Tra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가 이를 대체 지금의 인터넷으로 진화하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에 접속한 컴퓨터끼리 통신이 가능하려면 하나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하..
C언어 콘솔을 이용하여 슈팅 게임을 만들어는 봤습니다. 친구 과제를 도와주다 일부만 만든것이라 충돌 하였을떄 게임오버 정도, 적 비행체 이동정도만 구현한것입니다.